본문 바로가기
경리기초

세금계산서 역발행의 정의와 세금계산서 역발행을 사용하는 이유

by 소소작가 2022. 3. 30.
반응형

 본래의 세금계산서 정발행은 판매자인 공급자가 매입자에게 발행하는 방식이다.

이에 반해 세금계산서 역발행은 매입자가 매출자의 기재사항 및 공급받은 사항을 기재해서 매출자에게 전송하면 매출자는 공인인증서 등으로 인증하여 계산서를 발행하는 방식이다. 발행 과정에 매입자가 관여를 하지만 최종 전자 서명하는 자는 매출자이다. 따라서 작성은 매입자가 하지만 최종 발행은 매출자가 하는 것이다. 세금계산서 역발행은 홈텍스 사이트에서는 발행할 수 없고 별도의 역발행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발행해야 한다.

 

 비용을 지불하고 새로운 세무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고 번거로운 역발행 세금계산서는 왜 발행하는 것일까? 

역발행 세금계산서를 이용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1. 매출자의 세금계산서 작성 능력이 부족한 경우
  2. 매입자료 관리용이

 매출자가 세무지식이 부족해서 필수기재사항을 누락하거나 발행시기를 놓쳐서 잘못 발행할 경우 매출자는 물론 매입자도 난감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세무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매입자가 세금계산서를 기재해서 매출자에게 발행하는 경우이다. 또한 대기업은 대부분 자체 ERP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협력업체(매출 업체)들이 본인 회사의 ERP 시스템을 이용해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게 해서 매입자료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역발행 세금계산서를 이용하는 경우를 봤을 때 1,2 하나의 이유 때문에 역발행 세금계산서를 이용하는 게 아니라 1,2 공통된 이유로 역발행 세금계산서를 이용한다고 생각한다.

반응형

댓글